아우구스트 크로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구스트 크로그는 덴마크의 생리학자로, 모세혈관 제어 기전을 발견하여 1920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비교 생리학의 선구자로서, 개구리의 호흡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수생 동물의 항상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스피로미터 및 기초 대사율 측정 장치와 같은 과학 기기를 제작했다. 또한 1922년 인슐린 발견 직후 덴마크에 인슐린을 도입하고, 덴마크에서 인슐린 생산을 시작하는 데 기여했다. 그의 연구는 아내인 마리 크로그와 함께 이루어졌으며, 크로그 길이와 크로그의 원리는 그의 업적을 기리는 용어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마크의 의학자 - 닐스 카이 예르네
덴마크의 면역학자 닐스 카이 예르네는 항체 형성의 자연 선택 이론과 면역 네트워크 이론을 정립하여 면역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연구 기관에서 활동하고 198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덴마크의 의학자 - 닐스 뤼베르 핀센
페로 제도 출신 덴마크 의사이자 과학자인 닐스 뤼베르 핀센은 광선 요법 연구, 특히 피부 결핵 치료에 빛을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190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그가 설립한 핀센 연구소는 현재 코펜하겐 대학교 병원의 암 연구소로 운영되고 있다. - 덴마크의 생리학자 - 크리스티안 보어
크리스티안 보어는 호흡 생리학에 기여한 덴마크의 생리학자로, 보어 효과를 발견하고 생리학적 사강을 최초로 정의했으며, 닐스 보어와 하랄드 보어의 아버지이다. - 덴마크의 생리학자 - 헨리크 담
덴마크의 생화학자이자 생리학자인 헨리크 담은 비타민 K의 발견과 기능 규명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닭 실험을 통해 혈액 응고에 필수적인 비타민 K를 발견하고 명명했다. - 중앙윌란 지역 출신 - 레네 토프트 한센
레네 토프트 한센은 덴마크 핸드볼 선수로, 2005년 국가대표팀에 데뷔하여 2012년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 2011년과 2013년 세계 선수권 대회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THW Kiel에서 활약하며 2015-16 시즌부터 팀의 주장을 맡았다. - 중앙윌란 지역 출신 - 요하네스 피비게르
요하네스 피비게르는 덴마크의 병리학자이자 세균학자로, 디프테리아 연구와 쥐의 선충을 이용한 위암 유발 연구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지만, 이후 그의 연구 결과는 논란이 되었다.
아우구스트 크로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샤크 아우구스트 스테엔베르 크로그 |
출생 | 1874년 11월 15일 |
출생지 | 그레노 |
사망 | 1949년 9월 13일 (74세) |
사망지 | 코펜하겐 |
국적 | 덴마크 |
학력 | |
모교 | 코펜하겐 대학교 |
박사 학위 논문 | Frøernes Hud- og Lungerespiration (개구리의 피부 및 폐 호흡) |
박사 학위 취득 년도 | 1903년 |
지도교수 | 크리스티안 보어 |
경력 | |
직업 | 동물 생리학자 |
근무 기관 | 코펜하겐 대학교 |
주요 제자 | 토르켈 바이스-포 |
업적 | |
주요 업적 | 일산화 탄소 확산 능력 관류 크로그 모델 크로그 길이 크로그의 원리 |
수상 | |
수상 내역 | 발리 메달 (1945년) 크로니언 메달 (1940년) 왕립 학회 외국인 회원 (1937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1920년) |
가족 | |
배우자 | 마리 크로그 |
자녀 | 에리크 비고 크로그 엘렌 리그모르 크로그 아그네스 헬가 크로그 보딜 미미 슈미트-닐센 |
2. 생애
아우구스트 크로그는 덴마크의 생리학자로, 다양한 연구 업적을 남겼다.
비교 생리학의 선구자인 크로그는 개구리의 피부와 폐를 통한 호흡, 수생 동물의 물과 전해질 항상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스피로미터 및 기초 대사율 측정 장치와 같은 과학 기기를 제작하기도 했다.
크로그는 코펜하겐 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했고, 이후 정교수로 승진하여 동물 생리학 연구소장이 되었다. 그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미국 철학회의 국제 회원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1922년 프레데릭 밴팅과 찰스 베스트가 인슐린을 발견하자, 크로그는 아내인 마리 크로그와 함께 한스 크리스티안 하게돈과 협력하여 돼지 췌장에서 호르몬을 에탄올로 추출하는 방식으로 인슐린 생산 방법을 고안해 덴마크 내 생산을 시작했다.[16]
1930년대에는 닐스 보어, 조지 드 헤베시와 함께 중수 및 방사성 동위 원소의 막 투과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덴마크 최초의 사이클로트론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11]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874년 덴마크 유틀란 반도의 그레나에서 조선공인 비고 크로그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결혼 전 성씨는 드레흐만)는 홀슈타인 세관원의 딸이었다. 그의 어머니 가문을 통해 그는 "약간의" 로마니족 혈통을 주장했다.[10] 오르후스에 있는 오르후스 카테드랄스콜레에서 교육을 받았다. 코펜하겐 대학교에 진학하여 1899년 이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1903년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0]2. 2. 연구 활동 및 업적
1910년 크로그는 코펜하겐 중심부 근처의 작은 건물에 동물 생리학 연구소를 설립했다.[10] 1915년에는 개구리의 피부 호흡과 폐호흡에 관한 논문인 《동물과 인간의 호흡기 교환》을 발표했다.[10]1920년 크로그는 골격근의 모세혈관 제어 기전을 발견하여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10] 그는 세동맥과 모세혈관의 개폐에 의한 혈액 순환 제어에 대해 처음으로 기술했다.
크로그는 비교 동물학의 선구자이기도 하다. 그는 수생 동물의 항상성 연구에 매진하여 1939년에는 《수생 동물의 삼투압 조절》, 1941년에는 《호흡기의 비교 생리학》을 출판했다. 크로그는 200편 이상의 논문을 국제 학술지에 기고했으며, 폐활량계와 기초 대사율 측정 장치 등 다양한 과학 기기를 고안했다.[10]
1922년 프레데릭 밴팅과 찰스 베스트가 인슐린을 발견한 직후, 크로그는 이를 덴마크에 도입했다.[15] 그는 한스 크리스티안 하게돈과 함께 돼지의 췌장 호르몬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인슐린을 생산하는 방법을 고안, 덴마크 국내에서 생산을 시작했다.[16]
1930년대에 크로그는 닐스 보어, 조지 드 헤베시와 함께 중수 및 방사성 동위 원소의 막 투과성을 연구하고, 덴마크 최초의 사이클로트론 확보에 기여했다.[11]
크로그의 연구 대부분은 아내이자 저명한 과학자인 마리 크로그와 공동으로 진행되었다.
2. 3. 학술 활동 및 수상
크로그는 1908년 코펜하겐 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했고, 1916년 정교수로 승진하여 대학교 최초의 동물 생리학(동물생리학) 연구소장이 되었다.[11]1920년 골격근의 모세혈관 제어 기전을 발견하여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세동맥과 모세혈관의 개폐에 따른 혈액 순환 제어에 대해 최초로 기술했다.
비교 생리학의 선구자인 크로그는 개구리의 피부 호흡과 폐 호흡에 관한 논문인 ''동물의 호흡 교환''(Respiratory Exchange of Animals, 1915)을 썼다. 이후 수생 동물의 물과 전해질 항상성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으며, ''삼투압 조절''(Osmotic Regulation, 1939)과 ''호흡 메커니즘의 비교 생리학''(Comparative Physiology of Respiratory Mechanisms, 1941)을 출판했다. 그는 200편이 넘는 연구 논문을 국제 학술지에 기고했으며, 스피로미터 및 기초 대사율 측정 장치와 같은 과학 기기를 제작했다.
1922년 토론토에서 프레데릭 밴팅과 찰스 베스트가 인슐린을 발견하자마자 덴마크에 도입했다. 또한 한스 크리스티안 하게돈과 함께 돼지 췌장 호르몬의 에탄올 추출을 통해 인슐린을 제조하는 방법을 고안하여 덴마크 국내에서 제조를 시작했다.
1930년대에 크로그는 다른 두 명의 노벨상 수상자인 방사화학자 조지 드 헤베시와 물리학자 닐스 보어와 함께 중수 및 방사성 동위 원소에 대한 막 투과성에 대해 연구했으며, 함께 동물 및 식물 생리학, 치과 및 의료 분야의 실험을 위한 덴마크 최초의 사이클로트론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11]
1931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국제 명예 회원,[12] 1937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국제 회원,[13] 1941년 미국 철학회 국제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4] 1937년 왕립 학회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940년에는 크루니언 메달을 수상했다.
2. 4. 가족 관계
크로그는 1905년 마리 크로그(결혼 전 성은 예르겐센)와 결혼했다.[17] 마리는 저명한 과학자였으며, 아우구스트 크로그의 연구는 대부분 그녀와 긴밀한 협력하에 수행되었다.[17]아우구스트와 마리 사이에는 네 명의 자녀가 있었는데, 그 중 막내인 보딜 슈미트-닐센은 1918년에 태어났다. 그녀 또한 생리학자였으며, 1975년 미국 생리학회의 첫 여성 회장이 되었다.[18] 보딜은 또 다른 저명한 생리학자인 크누트 슈미트-닐센과 결혼했다.[19][20]
3. 연구 업적
크로그는 아내이자 저명한 과학자인 마리 크로그와 함께 많은 연구를 수행했다.[15] 이들은 200편이 넘는 논문을 국제 학술지에 기고했으며, 폐활량계와 대사 값을 측정하는 장치 등 다양한 측정 기기를 고안했다.[11]
1930년대에 크로그는 노벨상 수상자인 방사화학자 조지 드 헤베시, 물리학자 닐스 보어와 협력하여 중수 및 방사성 동위 원소에 대한 막 투과성에 대해 연구했다.[11] 이들은 함께 동물 및 식물 생리학, 치과 및 의료 분야의 실험을 위한 덴마크 최초의 사이클로트론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11]
크로그 연구소에서는 의학 생리학, 생물 물리학 연구 및 운동학 이론의 연구도 이루어졌으며, 오늘날 이러한 연구는 1970년에 지어진 아우구스트 크로그 연구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3. 1. 모세혈관 생리학
1920년, 크로그는 골격근에서의 모세혈관 제어 기전을 발견하여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22][23] 그는 세동맥과 모세혈관의 개폐에 따른 혈액 순환 제어에 대해 최초로 기술했다.크로그 길이는 영양분이 모세혈관에서 확산되는 거리를 나타내는데, 이는 세포의 영양분 소비를 기반으로 한다.[24]
3. 2. 비교생리학
크로그는 비교 동물학의 선구자였다. 1915년에는 개구리의 피부 호흡과 폐 호흡에 관한 Respiratory Exchange of Animals영어라는 논문을 썼다.[21] 이후 수생 생물의 항상성 연구에 매달려 1939년에 Osmotic Regulation영어, 1941년에 Comparative Physiology of Respiratory Mechanisms영어이라는 저서를 출판했다.[21] 또한 크로그는 200편이 넘는 논문을 국제 학술지에 기고했다.[21] 그는 스파이로미터나 대사 값을 측정하는 장치 등 다양한 측정 기기를 고안했다.[21]"크로그의 원리"는 "많은 문제에 대해 가장 편리하게 연구할 수 있는 선택의 동물 또는 그러한 몇몇 동물이 있을 것이다."라는 것이다.[24]
3. 3. 인슐린 연구 및 생산
1922년 프레더릭 밴팅과 찰스 베스트가 인슐린을 발견하자, 크로그는 이를 덴마크에 신속하게 도입했다.[15] 그의 아내 마리는 1형 당뇨병 환자를 진료했던 의사이자, 본인도 2형 당뇨병을 앓고 있었기 때문에 인슐린에 큰 관심을 가졌다.[16]크로그는 의사 한스 크리스티안 하게돈과 함께 노르디스크 인슐린라보라토리움을 설립했다. 그는 돼지 췌장에서 호르몬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덴마크에서 인슐린을 생산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16]
3. 4. 연구 협력 및 기타 업적
크로그는 아내이자 저명한 과학자인 마리와 함께 많은 연구를 수행했다.[15] 이들은 200편이 넘는 논문을 국제 학술지에 기고했으며, 폐활량계와 대사 값을 측정하는 장치 등 다양한 측정 기기를 고안했다.[11]1930년대에 크로그는 노벨상 수상자인 방사화학자 조지 드 헤베시, 물리학자 닐스 보어와 협력하여 중수 및 방사성 동위 원소에 대한 막 투과성에 대해 연구했다.[11] 이들은 함께 동물 및 식물 생리학, 치과 및 의료 분야의 실험을 위한 덴마크 최초의 사이클로트론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11]
4. 유산
1970년에 설립된 아우구스트 크로그 연구소에서는 의학 생리학, 생물 물리학 및 운동학 이론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21] 크로그의 이름은 그를 기리는 다음 두 가지 항목에 보존되어 있다.
- 크로그 길이: 영양분이 모세혈관에서 확산되는 거리로, 세포의 영양분 소비를 기반으로 한다.[22][23]
- 크로그의 원리: "많은 문제에 대해 가장 편리하게 연구할 수 있는 선택의 동물 또는 그러한 몇몇 동물이 있을 것이다."[24]
토르켈 바이스-포그는 곤충 비행 연구의 저명한 선구자로, 아우구스트 크로그의 제자였다.[21]
5. 저서
참조
[1]
논문
August Schack Steenberg Krogh. 1874-1949
[2]
논문
August Krogh: 1874-1949
[3]
논문
August Krogh
[4]
논문
Deaths of C. M. Wenyon, Clifford Dobell and A. Krogh
[5]
논문
August Krogh (1874-1949) the physiologist's physiologist
[6]
논문
August Krogh
[7]
논문
August Krogh, November 15, 1874-September 13, 1949
[8]
논문
August Krogh (1874-1949): 1920 Nobel Prize
[9]
논문
Nobel prize for August Krogh in 1920 for his discovery of regulative mechanism in the capillaries
[10]
서적
Biographical Index of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2002
https://rse.org.uk/w[...]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2006-07-00
[11]
웹사이트
George de Hevesy: Explosion of new knowledge
http://www.nbi.ku.dk[...]
Niels Bohr Institute
2014-09-11
[12]
웹사이트
August Krogh
https://www.amacad.o[...]
2023-04-26
[13]
웹사이트
August Krogh
http://www.nasonline[...]
2023-04-26
[14]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4-26
[15]
서적
August and Marie Krogh : lives in science
American Physiological Society
1995-00-00
[16]
웹사이트
The Founders
http://www.novonordi[...]
Novo Nordisk
[17]
웹사이트
August Krogh - Facts
https://www.nobelpri[...]
Nobelprize.org
[18]
웹사이트
Obituary Bodil Schmidt-Nielsen (1918-2015) 48th APS President
http://www.the-aps.o[...]
2015-07-00
[19]
웹사이트
Living history of physiology: Bodil Schmidt-Nielsen
http://advan.physiol[...]
[20]
웹사이트
© the American Physiological Society - Bodil M. Schmidt-Nielsen
http://the-aps.org/a[...]
[21]
논문
The Respiratory Exchange of the Desert Locust (Schistocerca Gregaria) before, During and After Flight
http://jeb.biologist[...]
The Company of Biologists
[22]
서적
Basic Transport Phenomena in Biomedical Engineering
Taylor & Francis
[23]
논문
Microfluidic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
http://www.nature.co[...]
[24]
서적
Introduction à l'étude de la médecine expérimentale
J.B. Baillière et Fils
[25]
웹사이트
https://europepmc.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